SMALL

자료구조 3

[java] 알고리즘 공부 방법, 순서

알고리즘 공부 방법, 순서에 대한 글 이번 포스팅 에서는 현재 내가 진행하는 알고리즘 공부를 정리하기 위해 쓰는 포스팅이다. 그러므로 개인에 따라 맞지 않을 수있다. 나를 위한 글이라 참고만 해주시면 좋겠다 ( 아 얘는 이렇게 공부하네 ) 추가적으로 조언이라던가 태클 등 댓글로 달아주시면 너무 감사하게 생각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알고리즘 이란? 알고리즘(영어: algorithm)은 수학과 컴퓨터과학에서 사용되는, 문제 해결 방법을 정의한 '일련의 단계적 절차'이자 어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동작들의 모임'이다. 계산을 실행하기 위한 단계적 규칙과 절차를 의미하기도 한다. 즉, 문제 풀이에 필요한 계산 절차 또는 처리 과정의 순서를 뜻한다. 프로그램명령어의 집합을 의미하기도 한다. 알고리즘 공부 순서..

개발 D/Java 2024.01.25

[java] 백준 - 17298 오큰수 -java

자료구조 공부 중 괜찮은 문제가 있어 작성! 자료구조 공부 중 관련된 문제를 백준에서 찾아 풀다가 어려웠지만 재밌고 괜찮은 문제를 가져와봤다. 문제 크기가 N인 수열 A = A1, A2, ..., AN이 있다. 수열의 각 원소 Ai에 대해서 오큰수 NGE(i)를 구하려고 한다. Ai의 오큰수는 오른쪽에 있으면서 Ai보다 큰 수 중에서 가장 왼쪽에 있는 수를 의미한다. 그러한 수가 없는 경우에 오큰수는 -1이다. 예를 들어, A = [3, 5, 2, 7]인 경우 NGE(1) = 5, NGE(2) = 7, NGE(3) = 7, NGE(4) = -1이다. A = [9, 5, 4, 8]인 경우에는 NGE(1) = -1, NGE(2) = 8, NGE(3) = 8, NGE(4) = -1이다. 입력 첫째 줄에 수열 ..

개발 D/Java 2024.01.16

[java] 덱/데크 자료구조 ( 백준 2346 - JAVA )

백준 문제 풀며 Deque 를 이해해보자. 백준문제를 풀다가 개인적으로 생각하기에 데크를 이해하기 쉽게 문제가 되어있는거 같아 글을 써본다. 백준 문제 https://www.acmicpc.net/problem/2346 2346번: 풍선 터뜨리기 1번부터 N번까지 N개의 풍선이 원형으로 놓여 있고. i번 풍선의 오른쪽에는 i+1번 풍선이 있고, 왼쪽에는 i-1번 풍선이 있다. 단, 1번 풍선의 왼쪽에 N번 풍선이 있고, N번 풍선의 오른쪽에 1번 풍선 www.acmicpc.net 먼저 Deque (덱 / 데크) 란? - Deque(덱 혹은 데크)은 Double-Ended Queue의 줄임말로 큐의 양쪽으로 엘리먼트의 삽입과 삭제를 수행할 수 있는 자료구조를 의미한다. - Deque는 어떤 쪽으로 입력하고 ..

개발 D/Java 2024.01.04
300x250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