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발 D/Java

[java] 덱/데크 자료구조 ( 백준 2346 - JAVA )

마음닝 2024. 1. 4. 18:03
백준 문제 풀며 Deque 를 이해해보자.

 

백준문제를 풀다가

개인적으로 생각하기에 데크를 이해하기 쉽게 문제가 되어있는거 같아 글을 써본다.

 

백준 문제

https://www.acmicpc.net/problem/2346

 

2346번: 풍선 터뜨리기

1번부터 N번까지 N개의 풍선이 원형으로 놓여 있고. i번 풍선의 오른쪽에는 i+1번 풍선이 있고, 왼쪽에는 i-1번 풍선이 있다. 단, 1번 풍선의 왼쪽에 N번 풍선이 있고, N번 풍선의 오른쪽에 1번 풍선

www.acmicpc.net

 

먼저 Deque (덱 / 데크) 란?


- Deque(덱 혹은 데크)은 Double-Ended Queue의 줄임말로 큐의 양쪽으로 엘리먼트의 삽입과 삭제를 수행할 수 있는 자료구조를 의미한다.

 

- Deque는 어떤 쪽으로 입력하고 어떤 쪽으로 출력하느냐에 따라서 스택(Stack)으로 사용할 수도 있고, 큐(Queue)로도 사용할 수 있다. 

 

문제


1번부터 N번까지 N개의 풍선이 원형으로 놓여 있고. i번 풍선의 오른쪽에는 i+1번 풍선이 있고, 왼쪽에는 i-1번 풍선이 있다. 단, 1번 풍선의 왼쪽에 N번 풍선이 있고, N번 풍선의 오른쪽에 1번 풍선이 있다. 각 풍선 안에는 종이가 하나 들어있고, 종이에는 -N보다 크거나 같고, N보다 작거나 같은 정수가 하나 적혀있다. 이 풍선들을 다음과 같은 규칙으로 터뜨린다.

우선, 제일 처음에는 1번 풍선을 터뜨린다. 다음에는 풍선 안에 있는 종이를 꺼내어 그 종이에 적혀있는 값만큼 이동하여 다음 풍선을 터뜨린다. 양수가 적혀 있을 경우에는 오른쪽으로, 음수가 적혀 있을 때는 왼쪽으로 이동한다. 이동할 때에는 이미 터진 풍선은 빼고 이동한다.

예를 들어 다섯 개의 풍선 안에 차례로 3, 2, 1, -3, -1이 적혀 있었다고 하자. 이 경우 3이 적혀 있는 1번 풍선, -3이 적혀 있는 4번 풍선, -1이 적혀 있는 5번 풍선, 1이 적혀 있는 3번 풍선, 2가 적혀 있는 2번 풍선의 순서대로 터지게 된다.

 

 

입력


첫째 줄에 자연수 N(1 ≤ N ≤ 1,000)이 주어진다. 다음 줄에는 차례로 각 풍선 안의 종이에 적혀 있는 수가 주어진다. 종이에 0은 적혀있지 않다.

 

 

출력


첫째 줄에 터진 풍선의 번호를 차례로 나열한다.

 

예제 입력 - 출력

 

풀이


예제 입력을 그림으로 그려 출력을 봤다.

 

풍선안에 종이 값이 양수 -> 종이값 -1 만큼 뒤로 보냄

다음 풍선을 터트려야 하는 풍선이 맨앞으로 와짐

 

음수 일시 -> 종이값(절대값) -1 만큼 앞으로 보냄

다음 풍선을 터트려야 하는 풍선이 맨뒤로 와짐 

 

 

코드


import java.util.*;
import java.io.*;

class Main{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throws IOException{
    	BufferedReader br = new BufferedReader(new InputStreamReader(System.in));
    	StringBuilder sb = new StringBuilder();
    	
    	Deque<Integer> deque = new ArrayDeque<>();
    	
    	int n = Integer.parseInt(br.readLine());
    	int[] arr = new int[n]; //풍선안에 있는 종이를 담을 배열
        
    	StringTokenizer st = new StringTokenizer(br.readLine());
    	
    	for(int i = 0; i < n; i++) {
    		arr[i] = Integer.parseInt(st.nextToken());
    		deque.offer(i+1); 
    	}
        
        // 첫번 째 풍선을 터트린다.
    	int num = deque.pollFirst();
    	sb.append(num).append(" ");
    	int x = arr[num - 1];
        
		        
    	while(!deque.isEmpty()) {
        	//풍선 안의 종이가 양수인지 음수인지
    		if(x > 0) {
            	// x-1개 만큼 앞에있는 값을 뒤로 보낸다.
    			for(int i = 0; i < x -1; i++) {
    				deque.offerLast(deque.pollFirst());
    			}
    			num = deque.pollFirst();
    			sb.append(num).append(" ");
    			x = arr[num - 1];
    		}else {
            	//x - 1개 만큼 뒤에있는 값을 뒤로 보낸다.
    			for(int i = 0; i < -x -1; i++) {
    				deque.offerFirst(deque.pollLast());
    			}
    			num = deque.pollLast();
    			sb.append(num).append(" ");
    			x = arr[num - 1];
    		}
    	}
    	System.out.println(sb);
    }
}

 

 

 

처음에는 map을 이용해서 key value로 풍선안에 종이 값을 저장했었는데 메모리 초과..

이 후 배열을 이용해서 종이의 값을 저장했다. 

300x250
LIST